본 포스트에서는 리액트를 이용하여 네이버 API로 데이터를 검색해서 목록 화면을 구성해 보겠습니다.
 
 

 

이번 과정에서 작성한 전체 소스코드는 중간중간 포스트에서 표시했습니다.

하지만 혹시 잘 안되시는 분들이 있으면 아래 Github에서 다운로드 해서 확인해 보시면 됩니다.

 

https://github.com/lgcjh0s/searchNaverApi.git

 

GitHub - lgcjh0s/searchNaverApi

Contribute to lgcjh0s/searchNaverApi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체크아웃 받는 방법은 아래 포스트를 참고합니다.

https://redballs.tistory.com/entry/Github-%ED%94%84%EB%A1%9C%EC%A0%9D%ED%8A%B8-VSCode%EB%A1%9C-Checkout-%ED%95%98%EA%B8%B0?category=568554 

 

Github 프로젝트 VSCode로 Checkout 하기

본 포스트는 협업을 위해 Github에 업로드 되어 있는 프로젝트를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로 체크아웃 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1. 체크아웃 대상 프로젝트 다른 포스트에서 진행했던 searchNaverApiTs 프

redballs.tistory.com

 

300x250
본 포스트에서는 리액트를 이용하여 네이버 API로 데이터를 검색해서 목록 화면을 구성해 보겠습니다.
 
 

저번 포스팅까지 해서 목록을 구성하고 탭 메뉴를 만들어서 탭을 전환할 때마다 탭에 맞는 Naver API를 호출하도록 해보았습니다. 현재까지 작업한 파일 및 폴더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먼저 만들어 볼 UI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01. Concept 포스팅에서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UI는 위와 같이 구성하고, 스크롤 영역에는 포함시키지 않고 상단에 고정합니다. 그리고 키워드를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터치하면 현재 탭에 맞는 검색 결과를 표시합니다.

 

/src/component/ 경로에 searchbar.component.jsx 파일을 생성하고 아래와 같이 UI Rendering 부분을 작성합니다.

import React from "react";

const SearchBar = () => {
    return (
        <div className="header">
            <input type="text" className="iptSearch" />
            <button type="button" className="search">
                <span>검색</span>
            </button>
        </div>
    )
};

export default SearchBar;

생성한 SearchBar 컴포넌트를 사용하기 위해 app.js 에 SearchBar 컴포넌트를 추가합니다.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atom, RecoilRoot } from "recoil";
import ListView from "./component/listview.component.jsx";
import TabList from "./component/tablist.component.jsx";
import SearchBar from "./component/searchbar.component.jsx";

export const selectedTabId = atom({
    key: 'tabId',
    default: 'news'
});

const App = () => {
    return (
        <RecoilRoot>
            <div>
                {/* ADD :: Start */}
                <SearchBar />
                {/* ADD :: End */}
                <ListView />
                <TabList />
            </div>
        </RecoilRoot>
    )
};

export default App;

상단에 고정할 수 있도록 stylesheet를 아래와 같이 대강 추가해 줍니다.

.header{padding:10px;border-bottom:1px solid #DDD;position:fixed;top:0;display:inline-block;z-index:100;width:100%;background-color:#FFF;}
.iptSearch{width:calc(100% - 110px);border:1px solid #EEE;line-height:27px;padding:0px 10px;margin-right:10px;}
button.search{padding:5px 10px;}

Header 영역이 추가되면서 목록 영역은 상단 부분의 자리를 좀 비켜줘야 합니다. 목록 영역의 class인 listArea class에 상단 여백을 추가합니다.

.listArea{width:100%;margin-bottom:50px;margin-top:52px;}

여기까지 하면 검색에 사용할 컴포넌트를 생성하고 페이지에 컴포넌트를 추가했고, 컴포넌트의 모양을 잡아주는 stylesheet도 만들었습니다. 실행시켜 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UI를 어느 정도 만들었으니 이제 검색 기능을 구현해 보겠습니다. 먼저 app.js 에 검색 키워드 상태 값 지정에 필요한 atom을 하나 추가로 생성합니다. 기본 검색어는 "코로나"로 지정했습니다.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atom, RecoilRoot } from "recoil";
import ListView from "./component/listview.component.jsx";
import TabList from "./component/tablist.component.jsx";
import SearchBar from "./component/searchbar.component.jsx";

export const selectedTabId = atom({
    key: 'tabId',
    default: 'news'
});

//ADD :: Start
export const searchKeyword = atom({
    key: 'keyword',
    default: '코로나'
});
//ADD :: End

const App = () => {
    return (
        <RecoilRoot>
            <div>
                <SearchBar />
                <ListView />
                <TabList />
            </div>
        </RecoilRoot>
    )
};

export default App;

다음은 SearchBar 컴포넌트에서 검색어를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터치하면 입력한 검색어를 상태 값에 저장하는 기능을 아래와 같이 구현합니다. 먼저 RecoilState를 선언한 후 [검색] 버튼을 터치하면 setter를 호출하여 저장합니다.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useRecoilState } from "recoil";
import { searchKeyword } from "../app";

const SearchBar = () => {
    //ADD :: Start
    const [keyword, setKeyword] = useRecoilState(searchKeyword);

    const search = () => {
        const searchKeyword = document.querySelector('#keyword').value;
        setKeyword(searchKeyword);
    };
    //ADD :: End

    return (
        <div className="header">
            <input type="text" className="iptSearch" id="keyword" />
            {/* onClick 추가 */}
            <button type="button" className="search" onClick={search}>
                <span>검색</span>
            </button>
        </div>
    )
};

export default SearchBar;

값을 저장하는 부분까지 진행했으니 이제 ListView 컴포넌트에서 저장한 값을 추출해서 사용하도록 구현합니다. 먼저 위와 동일하게 RecoilState를 하나 더 선언합니다.

const [keyword, setKeyword] = useRecoilState(searchKeyword);

useEffect를 구현한 부분에 keyword를 하드코딩 값이 아닌 keyword 값으로 변경해주고, 탭 아이디나 키워드가 변경되면 다시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도록 변경합니다.

useEffect(() => {
    apiGet(selTabId, keyword);
}, [selTabId, keyword]);

ListView 컴포넌트의 전체 소스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const ListView = () => {

    const [articles, setArticles] = useState(null);
    const [selTabId, setSelTabId] = useRecoilState(selectedTabId);
    const [keyword, setKeyword] = useRecoilState(searchKeyword);

    const apiGet = async (type, param) => {
        const apiUrl = 'https://openapi.naver.com/v1/search/' + type + '?query=' + param;
        const resp = await fetch(apiUrl, {
            method: 'GET',
            headers: {
                'Content-Type': 'application/json',
                'X-Naver-Client-Id': CLIENT_ID,
                'X-Naver-Client-Secret': CLIENT_SECRET
            }
        });
        resp.json().then(data => {
            setArticles(data.items);
        });

    };

    useEffect(() => {
        apiGet(selTabId, keyword);
    }, [selTabId, keyword]);

    return (
        <div className="listArea">
            <ul className="listView">
            {
                articles &&
                (selTabId === 'news') ?
                    articles.map((v, inx) => {
                        return <NewsRow key={inx} row={v} />
                    })
                : (selTabId === 'book') ?
                    articles.map((v, inx) => {
                        return <BookRow key={inx} row={v} />
                    })
                : ''
            }
            </ul>
        </div>
    );
}

여기까지가 끝인 것 같습니다. 검색을 해보고 탭 이동을 해보면 검색 결과가 정상적으로 잘 표시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00x250
본 포스트에서는 리액트를 이용하여 네이버 API로 데이터를 검색해서 목록 화면을 구성해 보겠습니다.
 
 

저번 포스팅까지 해서 뉴스와 도서 목록을 각각 구성해서 UI까지 만들어 보았습니다. 지금은 뉴스와 도서를 번갈아가며 조회하려면 소스코드를 수정해가면서 조회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뉴스]와 [도서] 탭을 만들어서 각 탭을 선택하면 원하는 목록이 조회되도록 해보겠습니다.

 

01. Concept 포스트에서 이야기한대로 탭은 화면 하단에 아래와 같은 모양으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src/component/ 하위에 tablist.component.jsx 파일을 하나 생성합니다. 이 파일에 탭을 구성하여 보겠습니다. 먼저 탭 한 칸에 대한 컴포넌트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const Tab = (props) => {
    const tabName = props.tab.tabName;
    const on = props.tab.on;
    const tabId = props.tab.id;

    const changeTab = (id) => {
        document.querySelector('.tabList li a.on').classList.remove('on');
        document.querySelector('.tabList li a#' + id).classList.add('on');
    };

    return (
        <li>
            <a href="#"
                id={tabId}
                className={on ? 'on' : ''}
                onClick={() => changeTab(tabId)}>
                <span>{tabName}</span>
            </a>
        </li>
    );
};

Tab 이라는 이름의 class를 생성하고 props를 전달 받습니다. return 하는 UI는 단순합니다. <li> 아래 실제 연결 동작을 담당할 <anchor> 태그를 하나 생성하고 id 속성을 부여합니다. 탭의 초기 구성을 위해 props로 전달 받은 on 속성에 따라 className 속성을 부여합니다.

 

그리고 탭을 선택했을 경우에 동작을 담당하는 changeTab 이라는 함수를 만들고 onClick 속성에 할당합니다. UI 에 표시되는 텍스트는 props로 전달 받은 tabName을 표시합니다.

 

changeTab 함수에서 현재 하는 동작은 on/off 에 대한 class만 변경합니다. 현재 on class가 붙어 있는 <a> 태그에서 on class를 제거하고 현재 입력 받은 탭에 on class를 추가합니다.

 

다음엔 Tab 컴포넌트를 사용해 전체 탭을 표시하는 TabList 컴포넌트를 아래와 같이 작성합니다.

const TabList = () => {
    const tabList = [
        {tabName: '뉴스', id: 'news', on: true},
        {tabName: '도서', id: 'book'}
    ];

    return (
        <div className="tabBox">
            <ul className="tabList" role="tablist">
            {
                tabList.map((v, inx) => {
                    return <Tab key={inx} tab={v} />
                })
            }
            </ul>
        </div>
    )
};

export default TabList;

먼저 tabList 배열을 하나 생성하고 표시할 탭 목록을 작성합니다. 우리는 "뉴스"와 "도서" 두 개의 탭을 사용할 것이므로 두 개를 만들고 초기에는 뉴스 탭을 활성화 시키기위해 뉴스 탭에는 on: true 로 세팅합니다. UI에 Rendering 할 부분은 <ul> 태그 아래 <Tab> 컴포넌트를 넣어 줍니다.

 

tablist.component.jsx의 전체 소스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import React from "react";

const Tab = (props) => {
    const tabName = props.tab.tabName;
    const on = props.tab.on;
    const tabId = props.tab.id;

    const changeTab = (id) => {
        document.querySelector('.tabList li a.on').classList.remove('on');
        document.querySelector('.tabList li a#' + id).classList.add('on');
    };

    return (
        <li>
            <a href="#"
                id={tabId}
                className={on ? 'on' : ''}
                onClick={() => changeTab(tabId)}>
                <span>{tabName}</span>
            </a>
        </li>
    );
};

const TabList = () => {
    const tabList = [
        {tabName: '뉴스', id: 'news', on: true},
        {tabName: '도서', id: 'book'}
    ];

    return (
        <div className="tabBox">
            <ul className="tabList" role="tablist">
            {
                tabList.map((v, inx) => {
                    return <Tab key={inx} tab={v} />
                })
            }
            </ul>
        </div>
    )
};

export default TabList;

이제 전에 만든 ListView 컴포넌트와 TabList 컴포넌트를 같이 사용하기 위해 별도의 프로그램을 하나 생성합니다.

/src/app.js 를 하나 만들고 아래와 같이 작성합니다. 이제부터는 main.js 에서는 app.js의 <App /> 컴포넌트를 사용하고 다른 컴포넌트들의 시작점은 app.js 에서 관리하겠습니다.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ListView from "./component/listview.component.jsx";
import TabList from "./component/tablist.component.jsx";

const App = () => {
    return (
        <div>
            <ListView />
            <TabList />
        </div>
    )
};

export default App;

main.js는 아래와 같이 수정합니다.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ReactDOM from 'react-dom';
import App from './app.js';

ReactDOM.render(<App />, document.getElementById('app'));

이제 TabList UI에 사용할 stylesheet를 "대강" 추가합니다. main.css 파일에 추가하면 됩니다.

.tabBox{position:fixed;bottom:0px;width:100%;height:50px;border-top:1px solid #DDD;background-color:#FFF;}
.tabList{display:table;width:100%;table-layout:fixed;}
.tabList li{display:inline-block;text-align:center;width:49%;}
.tabList li:first-child{border-right:1px solid #DDD;}
.tabList li a{display:block;color:#000;font-size:1.6rem;line-height:48px;}
.tabList li a span{display:inline-block;padding:0px 8px;width:100%;}
.tabList li a.on span{background-color:#999;color:#FFF;font-weight:700;}

여기까지 작성했으면 일단 동작은 되지 않겠지만 UI는 확인할 수 있습니다. UI를 확인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뉴스]와 [도서] 탭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토글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탭 토글까지 확인되었으면 이제 탭 선택에 따라 뉴스, 도서가 인터페이스 되도록 개발해 보겠습니다. 탭을 선택할 때 선택한 탭에 맞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하려면 ListView 컴포넌트가 현재 선택한 탭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합니다. 이렇게 컴포넌트에서 다른 컴포넌트 등과 데이터나 상태를 공유할 때 React에서는 React Redux, Context API, Recoil 등의 상태 관리를 사용합니다.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라이브러리에 대한 설명은 아래 링크로 대신합니다.

 

[React Redux]

https://react-redux.js.org/tutorials/quick-start

 

Quick Start | React Redux

 

react-redux.js.org

[Context API]

https://ko.reactjs.org/docs/context.html

 

Context – React

A JavaScript library for building user interfaces

ko.reactjs.org

[Recoil]

https://recoiljs.org/ko/

 

Recoil

A state management library for React.

recoiljs.org

Context API 같은 경우에는 React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으로 별도의 라이브러리 설치가 필요 없습니다. 하지만 여기서는 보일러 플레이트 코드가 가장 짧은 Recoil을 설치하여 사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명령으로 Recoil을 설치합니다.

D:\workspace\searchNaverApi> yarn add recoil@0.7.3

설치 후 package.json 파일을 보면 dependencies 하위에 recoil이 정상적으로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dependencies": {
    "moment": "2.29.1",
    "react": "17.0.2",
    "react-dom": "17.0.2",
    "recoil": "0.7.3"
},

Recoil을 적용하기 위해 app.js 소스코드를 열어 가장 상위 레벨을 <RecoilRoot>로 감싸 줍니다. <RecoilRoot> 하위에 포함된 컴포넌트끼리는 데이터나 상태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app.js 소스코드는 아래와 같이 됩니다.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RecoilRoot } from "recoil";
import ListView from "./component/listview.component.jsx";
import TabList from "./component/tablist.component.jsx";

const App = () => {
    return (
        <RecoilRoot>
            <div>
                <ListView />
                <TabList />
            </div>
        </RecoilRoot>
    )
};

export default App;

관리해야 할 상태나 데이터들이 많다면 별도로 파일을 분할해서 관리하겠지만 지금은 선택된 탭이나 검색 키워드 정도만 관리할 예정이므로 그냥 app.js 에 추가하겠습니다.

import React from "react";
//MODIFY :: Start
import { atom, RecoilRoot } from "recoil";
//MODIFY :: End
import ListView from "./component/listview.component.jsx";
import TabList from "./component/tablist.component.jsx";

//ADD :: Start
export const selectedTabId = atom({
    key: 'tabId',
    default: 'news'
});
//ADD :: End

const App = () => {
    return (
        <RecoilRoot>
            <div>
                <ListView />
                <TabList />
            </div>
        </RecoilRoot>
    )
};

export default App;

이제 Tab 컴포넌트에서 selectedTabId atom을 사용하여 상태를 변경하고, 변경된 상태를 참조하여 탭의 UI를 변경하겠습니다. 먼저 탭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useRecoilState Hook을 선언합니다. useRecoilState Hook은 useState Hook과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const [selTabId, setSelTabId] = useRecoilState(selectedTabId);

그 다음 탭을 Rendering 하는 부분에서 이 상태 변경을 이용해서 탭의 현재 상태를 변경하도록 합니다. 변경 전은 컴포넌트 생성 시에 props를 전달 받아 UI를 변경하거나, 탭을 선택할 때 JavaScript로 해당 Element의 class 속성을 변경하는 방법을 사용했었는데 변경 후에는 현재 atom에 저장된 값과 각 탭 아이디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해서 on/off 처리해 보겠습니다.

const changeTab = (id) => {
    setSelTabId(id);
};

return (
    <li>
        <a href="#"
            id={tabId}
            className={selTabId === tabId ? 'on' : ''}
            onClick={() => changeTab(tabId)}>
            <span>{tabName}</span>
        </a>
    </li>
);

changeTab 함수에서는 RecoilState에 저장한 tabId를 변경하도록 setSelTabId 함수만 호출합니다. UI를 Rendering 할 때 해당 탭의 아이디와 저장한 selTabId를 비교하여 동일한 탭일 경우 "on" class를 부여하고, 다른 탭일 경우에는 부여하지 않습니다.

 

TabList 컴포넌트에서는 탭 목록 선언 시에 on 항목을 삭제합니다. (상태 값을 참조하는 것으로 변경하였으므로 해당 값은 더 이상 사용하지 않습니다.) 변경한 tablist.component.jsx 파일의 소스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useRecoilState } from "recoil";
import { selectedTabId } from "../app";

const Tab = (props) => {
    const tabName = props.tab.tabName;
    const tabId = props.tab.id;

    const [selTabId, setSelTabId] = useRecoilState(selectedTabId);

    const changeTab = (id) => {
        setSelTabId(id);
    };

    return (
        <li>
            <a href="#"
                id={tabId}
                className={selTabId === tabId ? 'on' : ''}
                onClick={() => changeTab(tabId)}>
                <span>{tabName}</span>
            </a>
        </li>
    );
};

const TabList = () => {
    const tabList = [
        {tabName: '뉴스', id: 'news'},
        {tabName: '도서', id: 'book'}
    ];

    return (
        <div className="tabBox">
            <ul className="tabList" role="tablist">
            {
                tabList.map((v, inx) => {
                    return <Tab key={inx} tab={v} />
                })
            }
            </ul>
        </div>
    )
};

export default TabList;

이제 ListView 컴포넌트에서 상태 값을 이용해서 탭 변경 시 뉴스와 도서를 조회하는 부분을 작성해 보겠습니다. 상태 값을 참조해야 하므로 먼저 useRecoilState를 선언합니다.

const [selTabId, setSelTabId] = useRecoilState(selectedTabId);

다음은 Naver API를 호출할 때 해당 탭 아이디를 참조하여 뉴스나 도서 API를 사용하도록 합니다. 그리고 useEffect 부분을 변경하여 탭을 변경할 경우마다 API를 조회하도록 변경합니다. (아직 검색어에 대한 처리는 하드코딩입니다.)

useEffect(() => {
    apiGet(selTabId, 'React');
}, [selTabId]);

마지막으로 UI를 Rendering 하는 부분도 저장된 탭 아이디를 참조해서 뉴스를 조회할 경우 NewsRow를, 도서를 조회할 경우 BookRow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목록을 표시하도록 변경합니다.

return (
    <div className="listArea">
        <ul className="listView">
        {
            articles &&
            (selTabId === 'news') ?
                articles.map((v, inx) => {
                    return <NewsRow key={inx} row={v} />
                })
            : (selTabId === 'book') ?
                articles.map((v, inx) => {
                    return <BookRow key={inx} row={v} />
                })
            : ''
        }
        </ul>
    </div>
);

아래 그림과 같은 결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뉴스] 탭을 선택했을 경우

[도서] 탭을 선택했을 경우

여기까지 작성한 listview.component.jsx 파일의 소스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useEffect, useState } from "react"
import moment from "moment";
import { useRecoilState } from "recoil";
import { selectedTabId } from "../app";

const NewsRow = (props) => {
    const title = props.row.title;
    const pubDate = moment(props.row.pubDate).format('YYYY.MM.DD HH:mm');
    const desc = props.row.description;

    return (
        <li>
            <div className="title">
                <a href="#" dangerouslySetInnerHTML={{__html: title}}></a>
            </div>
            <div className="cont">
                <span className="date">{pubDate}</span>
                <span dangerouslySetInnerHTML={{__html: desc}} />
            </div>
        </li>
    );
};

const BookRow = (props) => {
    const image = props.row.image;
    const title = props.row.title;
    const author = props.row.author;
    const desc = props.row.description;

    return (
        <li>
            <a href="#" className="bookRow">
                <div className="bookImg">
                    <img src={image} />
                </div>
                <div className="bookDesc">
                    <div className="title" dangerouslySetInnerHTML={{__html: title}} />
                    <div className="cont">
                        <span className="author">{author}</span>
                        <span dangerouslySetInnerHTML={{__html: desc}} />
                    </div>
                </div>
            </a>
        </li>
    );
};

const ListView = () => {

    const [articles, setArticles] = useState(null);
    const [selTabId, setSelTabId] = useRecoilState(selectedTabId);

    const apiGet = async (type, param) => {
        const apiUrl = 'https://openapi.naver.com/v1/search/' + type + '?query=' + param;
        const resp = await fetch(apiUrl, {
            method: 'GET',
            headers: {
                'Content-Type': 'application/json',
                'X-Naver-Client-Id': CLIENT_ID,
                'X-Naver-Client-Secret': CLIENT_SECRET
            }
        });
        resp.json().then(data => {
            setArticles(data.items);
        });

    };

    useEffect(() => {
        apiGet(selTabId, 'React');
    }, [selTabId]);

    return (
        <div className="listArea">
            <ul className="listView">
            {
                articles &&
                (selTabId === 'news') ?
                    articles.map((v, inx) => {
                        return <NewsRow key={inx} row={v} />
                    })
                : (selTabId === 'book') ?
                    articles.map((v, inx) => {
                        return <BookRow key={inx} row={v} />
                    })
                : ''
            }
            </ul>
        </div>
    );
}

export default ListView;
300x250
본 포스트에서는 리액트를 이용하여 네이버 API로 데이터를 검색해서 목록 화면을 구성해 보겠습니다.
 
 

저번 포스트에서 Naver News API를 호출해서 아래 형태로 결과를 받아보는 부분까지 진행해 보았습니다.

인터페이스 결과 데이터의 형태를 확인했으니, 이제 ListView의 UI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ListView 컴포넌트가 Rendering 할 HTML은 아래와 같이 <ul> 태그만 하나 생성해서 return 한 상태입니다. News API를 호출하여 받은 데이터를 <ul> 안에 <li>로 반복해서 넣어주면 될 것 같지만, <li> 내부에도 여러 태그와 데이터를 바인딩하는 부분이 있을 것이고, 뉴스일 경우와 도서일 경우를 분리해서 <li>를 구성해야 합니다.

 

하여 <li> 부분은 별도의 컴포넌트로 작성하겠습니다. 일단 NewsRow 컴포넌트를 아래와 같이 작성합니다.

const NewsRow = (props) => {
    const title = props.row.title;
    const pubDate = moment(props.row.pubDate).format('YYYY.MM.DD HH:mm');
    const desc = props.row.description;

    return (
        <li>
            <div className="title">
                <a href="#" dangerouslySetInnerHTML={{__html: title}}></a>
            </div>
            <div className="cont">
                <span className="date">{pubDate}</span>
                <span dangerouslySetInnerHTML={{__html: desc}} />
            </div>
        </li>
    );
};

NewsRow 컴포넌트는 행에 표시할 데이터를 props로 전달 받습니다. 뉴스 한 건 당 한 행을 표시할 것이므로 props로 전달하는 데이터의 형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
    title: '',
    originallink: '',
    link: '',
    description: '',
    pubDate: ''
}

props로 넘어오는 데이터가 위와 같은 형태이고 row라는 이름으로 전달하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는 이 데이터 중 title(제목), pubDate(작성일시), description(요약) 3가지 데이터를 사용하겠습니다. 이 중 pubDate는 momentJs 모듈을 사용하여  YYYY.MM.DD HH:mm 형식으로 변환해 줍니다.

 

그리고 NewsRow의 return 에는 위의 내용과 같이 Rendering 할 HTML을 작성합니다. 작성하는 내용 중 특이한 부분이 있습니다. JavaScript에서는 innerHTML로 사용하던 부분을 React에서는 dangerouslySetInnerHTML을 사용하여 표현합니다. 관련된 짧은 설명이 React 공식 페이지에 있으므로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https://ko.reactjs.org/docs/dom-elements.html

 

DOM 엘리먼트 – React

A JavaScript library for building user interfaces

ko.reactjs.org

이제 ListView 컴포넌트에서 조회한 데이터를 NewsRow 컴포넌트를 사용해서 바인드 합니다. ListView 컴포넌트의 return 부분을 아래와 같이 수정합니다.

return (
    <div className="listArea">
        <ul className="listView">
        {
            articles &&
            articles.map((v, inx) => {
                return <NewsRow key={inx} row={v} />
            })
        }
        </ul>
    </div>
);

데이터를 조회해 온 후 setArticles useHook을 사용해서 articles에 값이 바인드 되면 다시 Rendering 을 하게 됩니다. articles 의 수만큼 NewsRow 컴포넌트를 생성하며 row라는 이름으로 뉴스 데이터를 props로 전달합니다. 

 

 

여기까지 작성 후 다시 프로젝트를 기동하여 화면을 확인합니다. 아직 stylesheet를 작성하지 않아 아래와 같은 모양으로 표시됩니다.

이제 모양을 잡아 줄 stylesheet를 작성합니다. 

/public/ 아래 css 폴더를 생성하고 main.css 파일을 아래와 같이 작성합니다. css를 학습하고자 함은 아니므로 아래와 같이 대강 작성합니다. (복붙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html{font-size:10px;}
html, body, div, span, ul, li, h1, h2, h3, table{margin:0;padding:0;}
body, button, input {font-family:'나눔고딕', 'NanumGothic', 'Dotum', '돋움', 'gulim', '굴림', Helvetica, sans-serif;color:#000;font-size:1.4rem;font-weight:400;}
li {list-style:none;}
a:link, a:hover{text-decoration:none;}

.content{position:absolute;top:52px;bottom:0px;overflow-x:hidden;}

.listArea{width:100%;margin-bottom:50px;}
.listView li{border-bottom:1px solid #DDD;padding:10px 15px;display:inline-block;}
.listView li .title {padding:10px 0px;color:#000;font-size:1.6rem;font-weight:400;}
.listView li .title a{color:#000;}
.listView li .cont span{display:inline-block;color:#555;}
.listView li .cont span.date{margin-bottom:5px;color:#999;font-size:1.2rem}

css 파일까지 생성한 프로젝트 파일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그리고 /public/index.html 파일에 main.css 를 추가합니다.

<!DOCTYPE html>
<html>
    <head>
        <title>Search Naver API</title>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initial-scale=1.0,minimum-scale=1.0,maximum-scale=1.0,user-scalable=no">
        <link rel="stylesheet" href="./css/main.css" />
    </head>
    <body>
        <div id="app"></div>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main.js"></script>
    </body>
</html>

이제 stylesheet까지 작성했으니 다시 한 번 UI를 확인해 보시면 아래와 같이 표시됩니다.

우리는 뉴스만 조회할 것이 아니라 도서 목록도 조회하기로 했습니다. NewsRow에 이어 BookRow 컴포넌트도 한 번 만들어 보겠습니다. 일단 도서 API는 데이터가 어떻게 넘어오는지 확인해 보아야 하므로 임시로 살짝 수정해서 데이터만 확인해  보겠습니다. 

 

ListView 컴포넌트의 useEffect Hook에서 apiGet 함수를 호출할 때 type 파라미터를 news 대신 book으로 변경합니다. 책은 "코스피"라는 키워드 대신 "React"로 키워드를 변경해 보겠습니다.

useEffect(() => {
    apiGet('book', 'React');
}, []);

다시 한 번 새로고침을 한 후 Network 탭을 확인하면 아래와 같이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BookRow 컴포넌트에서 사용할 데이터 형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
    title: '',
    link: '',
    image: '',
    author: '',
    price: '',
    discount: '',
    publisher: '',
    pubdate: '',
    isbn: '',
    description: ''
}

BookRow 컴포넌트에서는 위 데이터 중 title(제목), image(도서 이미지), author(저자), description(요약) 4개의 항목을 사용해서 구성해 보겠습니다. BookRow 컴포넌트는 아래와 같이 작성합니다.

const BookRow = (props) => {
    const image = props.row.image;
    const title = props.row.title;
    const author = props.row.author;
    const desc = props.row.description;

    return (
        <li>
            <a href="#" className="bookRow">
                <div className="bookImg">
                    <img src={image} />
                </div>
                <div className="bookDesc">
                    <div className="title" dangerouslySetInnerHTML={{__html: title}} />
                    <div className="cont">
                        <span className="author">{author}</span>
                        <span dangerouslySetInnerHTML={{__html: desc}} />
                    </div>
                </div>
            </a>
        </li>
    );
};

설명은 NewsRow 컴포넌트의 동일한 내용이므로 다시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이렇게 변경한 다음 ListView 컴포넌트에서 Rendering 하는 부분을 BookRow로 변경합니다.

return (
    <div className="listArea">
        <ul className="listView">
        {
            articles &&
            articles.map((v, inx) => {
                return <BookRow key={inx} row={v} />
            })
        }
        </ul>
    </div>
);

여기까지만 변경을 하면 위에서 작성한 NewsRow stylesheet가 반영되어 아래와 같이 UI가 만들어 집니다. (이..이미지가 깨지는 게시물도 있네요)

BookRow에 사용할 stylesheet도 main.css에 추가해 줍니다.

.listView li .bookImg{position:relative;float:left;}
.listView li .bookDesc{float:left;width:100%;}
.listView li a.bookRow{padding:0px 10px 0px 100px;display:block;height:auto;}
.listView li a.bookRow .bookImg{margin-left:-100px;margin-top:10px;}
.listView li a.bookRow .cont span.author{margin-bottom:8px;color:darkblue;}

좌측에 도서 이미지를 배치하고 오른쪽에 제목, 저자, 요약 내용을 배치 했습니다.

이번 포스트는 여기까지 작성해 보겠습니다. NewsRow와 BookRow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있는 listview.component.jsx 프로그램의 현재까지의 소스는 아래와 같습니다.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useEffect, useState } from "react"
import moment from "moment";

const NewsRow = (props) => {
    const title = props.row.title;
    const pubDate = moment(props.row.pubDate).format('YYYY.MM.DD HH:mm');
    const desc = props.row.description;

    return (
        <li>
            <div className="title">
                <a href="#" dangerouslySetInnerHTML={{__html: title}}></a>
            </div>
            <div className="cont">
                <span className="date">{pubDate}</span>
                <span dangerouslySetInnerHTML={{__html: desc}} />
            </div>
        </li>
    );
};

const BookRow = (props) => {
    const image = props.row.image;
    const title = props.row.title;
    const author = props.row.author;
    const desc = props.row.description;

    return (
        <li>
            <a href="#" className="bookRow">
                <div className="bookImg">
                    <img src={image} />
                </div>
                <div className="bookDesc">
                    <div className="title" dangerouslySetInnerHTML={{__html: title}} />
                    <div className="cont">
                        <span className="author">{author}</span>
                        <span dangerouslySetInnerHTML={{__html: desc}} />
                    </div>
                </div>
            </a>
        </li>
    );
};

const ListView = () => {

    const [articles, setArticles] = useState(null);

    const apiGet = async (type, param) => {
        const apiUrl = 'https://openapi.naver.com/v1/search/' + type + '?query=' + param;
        const resp = await fetch(apiUrl, {
            method: 'GET',
            headers: {
                'Content-Type': 'application/json',
                'X-Naver-Client-Id': 'z73CVZ80v0SYgrwfwbfz',
                'X-Naver-Client-Secret': 'dFoN8oBtKB'
            }
        });
        resp.json().then(data => {
            setArticles(data.items);
        });

    };

    useEffect(() => {
        apiGet('book', 'React');
    }, []);

    return (
        <div className="listArea">
            <ul className="listView">
            {
                articles &&
                articles.map((v, inx) => {
                    return <BookRow key={inx} row={v} />
                })
            }
            </ul>
        </div>
    );
}

export default ListView;

 

 

300x250
본 포스트에서는 리액트를 이용하여 네이버 API로 데이터를 검색해서 목록 화면을 구성해 보겠습니다.
 

저번 포스트에서는 간단하게 "Hello World"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실행시켜서 확인해 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현재 과정의 주 목적인 ListView를 구성하기 위해 Naver News API를 호출해서 데이터를 확인해보는 과정까지 개발해 보겠습니다.

 

js, jsx 파일은 /src 아래 경로에 작성하면 됩니다.

 

먼저 /src 하위에 /component 라는 폴더를 만들고 listview.component.jsx 파일을 하나 생성하고 아래 설명을 참고하여 목록 컴포넌트를 작성해 봅니다. 중간중간 코드에 추가한 부분은 아래와 같이 블럭으로 표시하겠습니다.

//ADD :: START
추가한 코드
//ADD :: END

 

먼저 컴포넌트를 생성하고, 현재 컴포넌트는 목록 컴포넌트이므로 데이터를 조회할 때마다 상태를 변경하고 목록을 갱신하기 위해 useState Hook을 사용하여 상태를 선언하고 초기 값은 null로 설정합니다.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useEffect, useState } from "react"

const ListView = () => {
    const [articles, setArticles] = useState(null);
}

export default ListView;

목록에 필요한 데이터는 Naver API를 호출하여 받아와야 합니다. fetch API를 사용하여 Naver API를 GET 방식으로 호출하는 apiGet이라는 이름의 함수를 하나 정의합니다.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useEffect, useState } from "react"

const ListView = () => {
    const [articles, setArticles] = useState(null);
	
    //ADD :: START
    const apiGet = async (type, param) => {
        const apiUrl = 'https://openapi.naver.com/v1/search/' + type + '?query=' + param;
        const resp = await fetch(apiUrl, {
            method: 'GET',
            headers: {
                'Content-Type': 'application/json',
                'X-Naver-Client-Id': CLIENT_ID,
                'X-Naver-Client-Secret': CLIENT_SECRET
            }
        });
        resp.json().then(data => {
            setArticles(data.items);
        });
    };
    //ADD :: END
}

export default ListView;

Naver Open API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API 사용 신청을 하고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발급 받아야 합니다. 여기서는 검색 API를 사용하므로 아래 URL에서  오픈 API 이용신청해서 먼저 발급 받습니다.

https://developers.naver.com/products/service-api/search/search.md

 

검색 - SERVICE-API

검색 NAVER Developers - 검색 API 소개 웹, 뉴스, 블로그 등 분야별 네이버 검색 결과를 웹 서비스 또는 모바일 앱에서 바로 보여 줄 수 있습니다. 또한 ’OO역맛집’과 같은 지역 검색을 할 수도 있으

developers.naver.com

apiGet 함수는 type과 param을 전달 받도록 작성했습니다. type은 뉴스(news)인지 도서(book)인지를 결정하는 인자이고, param은 검색어입니다. 두 인자를 받아서 Naver API URL을 조립하고 GET 방식으로 호출합니다. 이 때 Naver Open API 규격에 따라 headers에 인증 정보를 전달합니다.

 

Ajax는 비동기지만 aync/await를 사용했으므로 동기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조회를 하고 나면 컴포넌트의 상태를 변경해 줍니다. 위에서 선언한 setArticles 함수를 사용해서 조회한 결과로 상태를 변경합니다.

 

다음은 useEffect Hook을 사용하여 컴포넌트가 마운트 될 때 한 번만 실행할 수 있도록 두 번째 인자로 빈 배열([])을 넘겨 아래와 같이 작성합니다. "코스피"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뉴스를 검색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작성해 봅니다.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useEffect, useState } from "react"

const ListView = () => {
    const [articles, setArticles] = useState(null);

    const apiGet = async (type, param) => {
        const apiUrl = 'https://openapi.naver.com/v1/search/' + type + '?query=' + param;
        const resp = await fetch(apiUrl, {
            method: 'GET',
            headers: {
                'Content-Type': 'application/json',
                'X-Naver-Client-Id': CLIENT_ID,
                'X-Naver-Client-Secret': CLIENT_SECRET
            }
        });
        resp.json().then(data => {
            setArticles(data.items);
        });
    };
	
    //ADD :: START
    useEffect(() => {
        apiGet('news', '코스피');
    }, []);
    //ADD :: END
}

export default ListView;

이제 마지막으로 컴포넌트에서 Rendering 하는 부분을 작성합니다. 일단은 데이터가 어떻게 넘어오는지 아직 모르기 때문에 그냥 <ul> 태그만 하나 출력해 두겠습니다.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useEffect, useState } from "react"

const ListView = () => {
    const [articles, setArticles] = useState(null);

    const apiGet = async (type, param) => {
        const apiUrl = 'https://openapi.naver.com/v1/search/' + type + '?query=' + param;
        const resp = await fetch(apiUrl, {
            method: 'GET',
            headers: {
                'Content-Type': 'application/json',
                'X-Naver-Client-Id': CLIENT_ID,
                'X-Naver-Client-Secret': CLIENT_SECRET
            }
        });
        resp.json().then(data => {
            setArticles(data.items);
        });
    };

    useEffect(() => {
        apiGet('news', '코스피');
    }, []);
	
    //ADD :: START
    return (
    	<div className="listArea">
            <ul className="listView">

            </ul>
        </div>
    );
    //ADD :: END
}

export default ListView;

여기까지 작성했다면 일단 ListView 컴포넌트는 대강 작성했습니다. 이제 main.js 에서 ListView 컴포넌트를 사용하도록 아래와 같이 변경합니다.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ReactDOM from 'react-dom';
import ListView from './component/listview.component.jsx';

ReactDOM.render(<ListView />, document.getElementById('app'));

이제 실행을 한 번 시켜봐야 하는데, <ListView /> 등의 JSX 요소는 React의 컴포넌트를 표현하는 확장된 형태일 뿐, 정규 HTML 문법이 아니기 때문에 브라우저가 해석을 할 수 없습니다. 브라우저가  이해할 수 있는 순수 JavaScript로 변환하는 과정인 transpile 이라는 과정을 거쳐야 하며, 이 과정은 babel을 사용해서 진행합니다.

 

webpack.config.js 파일을 열어서 babel 설정을 추가합니다.

'use strict'
const path = require('path');

module.exports = {
    entry: {
        main: ['./src/main.js']
    },
    //ADD :: START
    module: {
        rules: [{
            test: /\.jsx?$/,
            use: {
                loader: 'babel-loader'
            }
        }]
    },
    //ADD :: END
    devServer: {
        static: './public',
        host: 'localhost',
        port: 8080
    }
};

확장자가 jsx인 파일은 babel-loader를 사용해서 transpile 하겠다는 의미입니다. babel 에서 transpile에 사용할 규칙은 preset을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프로젝트 루트에 .babelrc 라는 파일을 생성하고 아래와 같이 작성합니다.

{
    "presets": [
        "@babel/preset-env",
        "@babel/preset-react"
    ]
}

여기까지 작성하셨으면 프로젝트의 파일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이제 yarn start 명령으로 프로젝트를 기동합니다. 잘 따라하셨다면 특별한 오류 없이 기동될 것 같습니다. 정상 기동되었다면 터미널에 아래와 같은 형태로 표시됩니다.

D:\workspace\searchNaverApi>yarn start
yarn run v1.22.17
$ NODE_ENV=development webpack-dev-server
<i> [webpack-dev-server] Project is running at:
<i> [webpack-dev-server] Loopback: http://localhost:8080/, http://127.0.0.1:8080/
<i> [webpack-dev-server] Content not from webpack is served from './public' directory
[BABEL] Note: The code generator has deoptimised the styling of D:\workspace\searchNaverApi\node_modules\react-dom\cjs\react-dom.development.js as it exceeds the max of 500KB.
asset main.js 1.13 MiB [emitted] (name: main)
runtime modules 27 KiB 12 modules
modules by path ./node_modules/ 1.02 MiB
  modules by path ./node_modules/webpack-dev-server/client/ 62.1 KiB 12 modules
  modules by path ./node_modules/webpack/hot/*.js 4.4 KiB 4 modules
  modules by path ./node_modules/html-entities/lib/*.js 115 KiB 4 modules
  modules by path ./node_modules/scheduler/ 29.4 KiB 4 modules
  modules by path ./node_modules/react/ 78.1 KiB 2 modules
  modules by path ./node_modules/react-dom/ 732 KiB 2 modules
  ./node_modules/ansi-html-community/index.js 4.26 KiB [built] [code generated]
  ./node_modules/events/events.js 14 KiB [built] [code generated]
  ./node_modules/object-assign/index.js 2.17 KiB [built] [code generated]
modules by path ./src/ 15.8 KiB
  ./src/main.js 219 bytes [built] [code generated]
  ./src/component/listview.component.jsx 15.6 KiB [built] [code generated]
webpack 5.66.0 compiled successfully in 1866 ms

프로젝트가 기동되었다면 이제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 http://localhost:8080으로 접근하여 Network 탭을 확인합니다. 하지만  인터페이스가 정상 수행되지는 않았고 Chrome Console 에 아래와 같은 에러 메시지가 남아 있습니다.

Chrome 브라우저의 CORS 정잭을 예외하기 위해서 Chrome의 바로가기에 아래처럼 예외 옵션을 적용합니다.

"C:\Program Files\Google\Chrome\Application\chrome.exe" --disable-web-security --user-data-dir="C:\Chrome"

브라우저를 모두 종료 후에 새로 시작해서 다시 http://localhost:8080 으로 접근해서 Network 탭을 확인하면 아래와 같이 인터페이스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인터페이스한 내용으로 ListView UI를 완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300x250
본 포스트에서는 리액트를 이용하여 네이버 API로 데이터를 검색해서 목록 화면을 구성해 보겠습니다.
 

 

저번 시간에는 프로젝트 경로를 생성하고 개발에 필요한 모듈들을 설치해 보았습니다. 설치하는 과정에서 의존성에 대해서도 잠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VSCode에 프로젝트를 반입해서 프로젝트 구조 및 보일러 플레이트 코드를 작성한 후 간단하게 "Hello World"를 출력해보겠습니다.

VSCode로 프로젝트 열기

먼저 빈 VSCode 창을 하나 열고 [폴더 열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만들어 둔 searchNaverApi 폴더를 선택하여 엽니다.

해당 폴더를 선택하면 VSCode에 프로젝트가 아래와 같이 반입됩니다.

프로젝트 구조 생성

프로젝트 하위에 폴더를 두 개 만들어 보겠습니다.

 

[./public]

public 이라는 폴더에는 html, css, image 등 정적인 Resources를 관리합니다.

 

[./src]

src 라는 폴더에는 React 기반으로 개발하는 JavaScript 소스 코드를 관리합니다.

 

먼저 public 폴더를 생성하고 하위에 index.html 파일을 생성하고 아래와 같이 작성합니다. html 파일에는 별 내용은 없으며 React 모듈을 초기화 할 main.js 파일을 포함하는 부분과 React 애플리케이션을 Rendering 할 "app"라는 아이디를 가진 div를 하나 선언합니다.

<!DOCTYPE html>
<html>
    <head>
        <title>Search Naver API</title>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initial-scale=1.0,minimum-scale=1.0,maximum-scale=1.0,user-scalable=no">
    </head>
    <body>
        <div id="app"></div>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main.js"></script>
    </body>
</html>

그 다음에는 index.html 파일에 사용할 main.js 파일을 ./src 경로 하위에 생성하고 아래와 같이 작성합니다.

import ReactDOM from 'react-dom';

ReactDOM.render('Hello World', document.getElementById('app'));

현재까지 작성한 경로 및 파일들의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애플리케이션 실행

이제 이 상태에서 "Hello World"를 출력해보기 위해 터미널에서 프로젝트 루트 경로로 이동하여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yarn start

package.json 파일에 설정한 start command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기동하는 명령어 입니다. 우리는 아직 package.json에 start command를 선언하지 않았으므로 터미널에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yarn run v1.22.17
error Command "start" not found.
info Visit https://yarnpkg.com/en/docs/cli/run for documentation about this command.

package.json 파일에 start command를 설정해 보겠습니다. package.json 파일을 열어 가장 아래 부분에 start command를 아래와 같이 추가합니다.

"scripts": {
    "start": "NODE_ENV=development webpack-dev-server"
}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해서 webpack-dev-server를 사용해야 하므로 webpack 설정 파일을 프로젝트 root에 하나 생성합니다. 아래와 같은 내용으로 webpack.config.js 파일을 생성합니다.

'use strict'
const path = require('path');

module.exports = {
    entry: {
        main: ['./src/main.js']
    },
    devServer: {
        static: './public',
        host: 'localhost',
        port: 8080
    }
};

간단한 설정만 일단 추가합니다. entry point를 main.js로 설정하고 개발 서버 루트를 ./public 경로 하위로 설정합니다.

다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해 보겠습니다.  다시 프로젝트 루트 경로에서 터미널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yarn start

webpack.config.js 파일에 devServer port를 8080으로 설정했으므로 개발 서버는 8080 포트로 기동됩니다. 브라우저에서는 아래 경로로 접근하면 됩니다.

http://localhost:8080

모든 작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면 화면에 아래와 같이 "Hello World"가 표시됩니다. index.html에 작성한 코드에서 <div id="app" /> 영역에 "Hello World"가 표시되었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목록을 표시하는 부분인 목록 Component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300x250

본 포스트에서는 리액트를 이용하여 네이버 API로 데이터를 검색해서 목록 화면을 구성해 보겠습니다.

 

 

 

개발할 내용을 설계해보았으니 개발에 필요한 환경을 구성하고 프로젝트를 생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코드 편집기

코드 편집기는 손에 익은 편한 도구를 사용하면 됩니다. 여기서는 요즘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듯 한 VSCode를 사용하겠습니다.

VSCode는 아래의 링크에서 각자의 환경 (Windows, MAC)에 맞는 버전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시면 됩니다.

https://code.visualstudio.com/

 

Visual Studio Code - Code Editing. Redefined

Visual Studio Code is a code editor redefined and optimized for building and debugging modern web and cloud applications.  Visual Studio Code is free and available on your favorite platform - Linux, macOS, and Windows.

code.visualstudio.com

Node.js

JavaScript 애플리케이션의 Package 의존성을 관리하기 위해 npm이나 yarn을 사용합니다.  npm이나 yarn은 Node.js 기반으로 동작하므로 Node.js 인스톨러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합니다. 아래의 링크에서 각자의 환경 (Windows, MAC)에 맞는 버전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시면 됩니다.

https://nodejs.org/ko/download/

 

다운로드 | Node.js

Node.js® is a JavaScript runtime built on Chrome's V8 JavaScript engine.

nodejs.org

npm과 yarn의 차이, 장단점에 대해서는 TOSS의 기술 블로그에서 재미나게 설명하고 있으니 참고하시면 될 듯 합니다. 아래 링크 첨부합니다.

https://toss.tech/article/node-modules-and-yarn-berry

 

node_modules로부터 우리를 구원해 줄 Yarn Berry

토스 프론트엔드 레포지토리 대부분에서 사용하고 있는 패키지 매니저 Yarn Berry. 채택하게 된 배경과 사용하면서 좋았던 점을 공유합니다.

toss.tech

Yarn

Node.js까지 설치를 했다면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여 Yarn을 설치합니다.

npm install -g yarn

프로젝트 초기화

Yarn까지 설치했다면 프로젝트 루트로 사용할 workspace를 하나 생성합니다. 각자가 편한 경로에 디렉토리 하나를 생성하시면 됩니다. NAVER API를 통해 간단한 검색을 하는 프로그램이므로 searchNaverApi라고 명명하겠습니다.

 

workspace 하위에 아래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이동합니다.

mkdir searchNaverApi
cd searchNaverApi

해당 디렉토리에 프로젝트 설정 파일을 생성합니다. 프로젝트 설정 파일은 package.json이며 yarn init 명령을 수행해서 생성하시면 됩니다. yarn init 명령을 입력하면 아래 정보를 입력하라고 나오는데, 성실하게 입력하셔도 되고, 나중에 파일 생성 후 변경도 가능하니 그냥 모두 Enter로 넘어가셔도 상관 없습니다.

D:\workspace\searchNaverApi> yarn init

name (searchNaverApi) : 
version (1.0.0) :
description :
entry point (index.js) : 
repository url : 
author : 
license (MIT) :
private :

일단 모두 입력 or skip 하게 되면 프로젝트 하위 경로에 package.json 파일이 하나 생성됩니다.

기본 설정으로 만들고 싶을 경우 yarn init -y 명령으로 생성하면 별도 질문 없이 package.json이 기본 설정으로 생성됩니다.

 

현재까지 진행한 프로젝트 파일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searchNaverApi
 └── package.json

 

모듈 설치

현재 프로젝트 개발에 필요한 모듈들을 설치합니다. 각 모듈의 버전 별로 호환성 문제나 코드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설치할 버전을 지정하여 설치하겠습니다.

모듈을 설치할 때는 yarn add 명령으로 설치합니다. yarn add 명령의 형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yarn add [packages ...][flags]

yarn help 명령을 입력하면 flags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조회할 수 있지만 이번에는 의존성에 대한 부분만 간략하게 보고 넘어가겠습니다. yarn help add 명령으로 조회한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D:\workspace\searchNaverApi> yarn help add
...
-D, --dev         save package to your `devDependencies`
-P, --peer        save package to your `peerDependencies`
-O, --optional    save package to your `optionalDependencies`
...

위 내용 중 --dev (개발 의존성)와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았을 경우인 일반 의존성으로만 구분하여 설치를 진행하겠습니다. 간단하게 일반 의존성은 런타임에서 사용하는 모듈을 설치할 때 사용하고, 개발 의존성 (--dev)은 빌드 타임 (babel이나 webpack 등 개발 workflow에서 사용)에서만 사용하는 모듈을 설치할 때 사용합니다.

 

이번 프로젝트에 필요한 모듈을 설치해 보겠습니다.

D:\workspace\searchNaverApi> yarn add react@17.0.2
D:\workspace\searchNaverApi> yarn add react-dom@17.0.2
D:\workspace\searchNaverApi> yarn add --dev babel-core@6.26.3
D:\workspace\searchNaverApi> yarn add --dev babel-loader@8.2.3
D:\workspace\searchNaverApi> yarn add --dev babel-preset-react-app@10.0.1
D:\workspace\searchNaverApi> yarn add --dev webpack@5.66.0
D:\workspace\searchNaverApi> yarn add --dev webpack-dev-server@4.7.3
D:\workspace\searchNaverApi> yarn add --dev webpack-cli@4.10.0

기본적인 React package 및 compile, bundling을 위한 도구를 설치하는 과정입니다. react 및 react-dom을 제외하고는 런타임에 필요한 모듈이 아니므로 개발 의존성으로 설치합니다. 개발 시에 필요한 모듈은 추가적으로 날짜 formatting을 위해 moment 정도만 설치합니다.

(나중에 추가적으로 필요한 모듈이 있으면 그때그때 설치하면 됩니다.)

yarn add moment@2.29.1

설치를 한 모듈은 package.json 파일에서 의존성 관리를 합니다. 설치를 완료한 후 package.json 파일을 확인해 보면 아래와 같이 개발 의존성으로 설치한 모듈들은 devDependencies 하위에, 일반 의존성으로 설치한 모듈들은 dependencies 하위에 관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name": "searchNaverApi",
  "version": "1.0.0",
  "main": "index.js",
  "license": "MIT",
  "dependencies": {
    "moment": "2.29.1",
    "react": "17.0.2",
    "react-dom": "17.0.2",
  },
  "devDependencies": {
    "babel-core": "6.26.3",
    "babel-loader": "8.2.3",
    "babel-preset-react-app": "10.0.1",
    "webpack": "5.66.0",
    "webpack-cli": "4.10.0",
    "webpack-dev-server": "4.7.3"
  }
}

여기까지 작업을 완료했다면 현재 프로젝트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searchNaverApi
 ├── node_modules
 │    ├── ...
 ├── package.json
 └── yarn.lock

다음 편에서는 compile 및 bundling 대상인 source 경로와 정적인 resources를 관리하는 경로를 분할하여 프로젝트 구조를 잡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300x250

본 포스트에서는 리액트를 이용하여 네이버 API로 데이터를 검색해서 목록 화면을 구성해 보겠습니다.

금융 IT에 종사하다 보니 Front-end 개발을 주로 하지만 Vue나 React 같은 Library 보다는 주로 jQuery 기반으로 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개발자는 끊임 없이 공부해야 하기에 React 기초를 공부하는 과정을 한 번 정리해 보겠습니다.

 

일단 간단하게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목록 정도만 개발해 볼 수 있도록 NAVER 뉴스 API, 도서 API에서 데이터를 수신해 화면에 목록 형태로 표시하도록 개발해 보겠습니다.

 

목록 구성

일단 NAVER API를 통해 받아온 뉴스 데이터와 도서 데이터는 아래와 같이 구성해 보겠습니다.

(데이터를 어느 정도 길이로 응답할지는 정확히 모르기 때문에 여러 줄로 표시해야 하는 부분은 여러 줄로 표시하도록 구성합니다.)

뉴스, 도서 목록 구성

탭 버튼 구성

목록을 두 가지 형태로 구성하므로 뉴스 데이터를 조회할 지, 도서 데이터를 조회할 지 사용자가 탭으로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화면 하단에 간단하게 탭을 표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합니다.

탭 버튼 구성

위 그림과 같이 간단하게 두 개의 탭을 표시하고 선택한 탭은 반전하여 선택되었음을 표시해 줍니다. 

 

검색 기능 구성

NAVER의 뉴스 및 도서 API는 "검색"을 위한 API 입니다. 사용자가 입력한 Keyword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조회하므로 검색어를 입력하고 API를 호출하기 위한 컴포넌트가 필요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대강 구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검색 기능 구성

그림을 그리다 보니 그렇게 간단하지만은 않을 것 같습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개발을 하기 위한 프로젝트 환경을 구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300x250

+ Recent posts